42 이 날은
준비일 곧 안식일 전날이므로 저물었을 때에 43 아리마대 사람 요셉이 와서 당돌히 빌라도에게 들어가 예수의 시체를 달라 하니 이
사람은 존경 받는 공회원이요 하나님의 나라를 기다리는 자라 44 빌라도는 예수께서 벌써 죽었을까 하고 이상히 여겨 백부장을 불러 죽은지 오래냐
묻고 45 백부장에게 알아 본 후에 요셉에게 시체를 내주는지라 46 요셉이 세마포를 사고
예수를 내려다가 그것으로 싸서 바위 속에 판 무덤에 넣어 두고 돌을 굴려 무덤 문에 놓으매 47 막달라 마리아와 요세의
어머니 마리아가 예수 둔 곳을 보더라
어제 본문에서 죄인인 나를 위해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께서 사람으로부터 버림받으셨을
뿐만 아니라 아버지 하나님으로부터 버림받으셨다는 것을 살펴보면서 나를 위해 버림받으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 안에서 아버지 하나님께
나아가는 은혜를 누리기를 소망하였습니다.
오늘 본문은 우리 주님께서 십자가에 못박히신 후 죽으신 바로 그 날이 준비일 곧 안식일
전날이라는 언급으로 시작합니다(42).
이 날은 오늘날로 치면 금요일인데, 주님의 죽으심과 관련해서 Karfreitag, 성금요일이라고 칭합니다. 즉 이 금요일 새벽에 주님께서는 잡히신 후, 대제사장의 집을 거쳐 빌라도에게
넘겨져 재판을 받으시고 십자가에 못박히시고 숨을 거두셨습니다.
당시에 로마군에서는 십자가에 처형한 시체를 여러 날 동안 그대로 십자가에
매달아 놓아 경고를 삼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유대지방에서는 안식일이 지나기
전에 시체를 내리고, “게헨나”라고 불리던 예루살렘 성 밖에 있는 쓰레기 처지장에 내다버리고 이교도의 화형형식을 따라 처리하였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경우에는 아리마대 요셉이 용감하게 나서 총독 빌라도에게 예수의 시체를
내어달라 요청하고 무덤에 시신을 안장합니다.
이 일을 중재한 아리마대 사람 요셉은 존경받는 공회원이며 하나님의 나라를
기다리는 사람이었습니다. 누가에 따르면 아리마대 요셉은 산헤드린 공회의 결의와 행사에 찬성하지
않았고(눅23:51), 요한복음에 따르면, 그는 예수님의 제자였으나 유대인이 두려워 그것을 숨기고 있었습니다(요19:38). 그러나 예수님의 십자가의 죽음 앞에서 아리마대 요셉은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스스로가 예수의 제자인 것을 드러내며 당돌히(용감하게) 빌라도를 찾아가서 예수의 시체를 내어 달라고 요청합니다. 아마도 아리마대 요셉의 사회적 지위와 체면을 고려한 총독 빌라도는 예수의 죽음을 확인후
그 시체를 내어줍니다. 이렇게 스스로를 드러낸 아리마대 요셉은 예수님의 시체를 세마포에 싼
후 바위 속에 판 무덤에 넣고 큰 돌을 굴려 무덤을 막습니다.
이처럼 비록 유대인이 두려워 예수의 제자인 것을 숨기던 아리마대 요셉이지만, 예수님의 죽음 앞에 그는 스스로를 예수님의 제자로 드러냅니다. 즉 어떤 의미에서 예수님의 죽음이 그의 믿음과 제자됨에 대한 리트머스 시험지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그때나 오늘날이나 예수님의 죽음에 대하여 세상의 사람들은 죄인을 대신한
하나님의 아들의 죽음으로 결코 생각하지 않습니다. 오늘 우리들도 아리마대 요셉처럼
죄인된 나를 위하여 십자가에서 죽으시고 무덤에 묻히신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이며 우리의 왕이며 우리의 구원자로 믿는 은혜를 누리는 자들이 되었음에
감사합시다
#마가복음15:42-47, #큐티, #독일, #뤼셀스하임, #프랑크푸르트, #마인츠, #비스바덴, #한인교회, #만나교회, #Mark 15:42-47, QT, #Rüsselsheim,
#Frankfurt, #Wiesbaden, #Maninz, #Korean_Church, #koreanische_kirchengemeinde,
#Manna |